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국무부 "북, 유해송환 금전요구 안했다"

국무부는 29일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인 27일을 기해 이뤄진 북한의 유해송환 관련, 북한이 금전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유해송환과 관련해 보상이 이뤄진 것이 있는지에 대한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헤더 나워트 대변인 명의로 "미국의 법규는 북한 또는 어느 나라든 유해의 발굴 및 보관과 관련한 경비에 대해 배상할 권한을 국방부 장관에게 부여한다"면서도 "이번 경우 북한이 돈을 요구하지 않았고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In this instance, North Korea did not ask for money and no money was exchanged)"고 밝혔다. 북한이 유해송환에 대해 아직 공식 언급 없이 침묵 속에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북한이 돈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공식 확인함에 따라 북미 간 신뢰구축과 이후 비핵화 협상 진전의 동력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나워트 대변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리의 전몰장병들의 유해를 돌려주겠다고 한 약속의 일부를 이행하고 있다"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에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합의의 실현으로 향하는 손에 잡히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앞서 미군 C17 글로브마스터 수송기가 지난 27일 북한 원산에서 미군 유해 55구를 싣고 오산 미군기지로 돌아왔다. 미국 측은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 관계자들을 통해 오산 공군기지에서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내달 1일 공식 유해송환 행사를 개최한다. 이후 유해는 신원확인작업을 위해 하와이에 있는 DPAA로 옮겨지며, 한국전 참전용사의 아들이기도 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유해를 맞이할 예정이다.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송환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사안으로, "우리는 위대한 전사자 영웅들의 유해를 돌려받았다. 사실 이미 오늘 200구의 유해가 송환됐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달 20일 발언과 달리 송환 작업이 늦어지자 북한의 현금보상 요구가 지연 사유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각에서 제기돼왔다. 유해송환과 관련한 비용 지급 문제에 대해 DPAA 대변인실은 "정책 차원에서 미국 정부는 어떤 정부나 개인에게도 실종 미국인 유해에 대한 대가로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면서도 "발굴 및 송환에서 발생한 비용을 정산할 권한이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실제 미국은 1990년부터 2005년 사이 북한으로부터 약 629구로 추정되는 유해(334구 신원 확인)를 돌려받는 과정에서 북한에 약 2200만 달러를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구당 환원하면 약 3만5000달러를 북한에 실비 정산 차원에서 지급한 셈이 된다. 로이터통신은 의회조사국(CRS) 보고서를 인용, 북미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한 공동 유해발굴 작업 지원을 위해 미국 측이 2800만 달러를 북측에 지급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국무부가 밝힌 대로 북한이 이번에 유해송환에 대한 금전 요구를 하지 않았다면 이는 북한이 북미정상회담 합의 이행에 대한 적극성, 최고 지도자의 '과단성' 등을 보여주기 위해 과거와 차별화 행보를 보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또한, 유엔 안보리와 미국의 대북제재도 유해송환과 관련한 현금보상 등에 현실적인 제약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한편,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은 지난 27일 유해발굴을 위해 북한에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18-07-29

DPAA서 유해 감식 정양승 교수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약 3년간 6.25 전쟁 미군 유해 감식을 했던 한인이 있다. 정양승 미들테네시주립대 생물학과 교수다. 미군 유해 55구가 북한으로 송환된 지난 27일 정 교수를 인터뷰했다. 그는 "유해 감식을 하는 동안 미군들에게 빚을 갚는 기분이 들었다"며 "DPAA는 굉장히 체계적인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제2차 세계대전, 6.25 전쟁, 베트남전 등에 참전했다가 실종된 미군은 약 8만2000명에 달한다. 이들의 유해를 발굴해 가족의 품으로 돌려주는 일을 하는 곳이 바로 DPAA다. 6.25 전쟁 참전 미군 중 실종자는 7769명이다. DPAA는 우리나라 국방부의 유해발굴감식단과 똑같은 역할을 한다. 그는 2014년 9월부터 2017년 8월까지 DPAA 중앙감식소에서 근무했다. 중앙감식소는 DPAA에 온 유해의 신원을 밝히는 작업을 한다. 중앙감식소 산하엔 여러 팀이 있는데 그가 일한 팀은 북한이 1990년부터 1994년까지 돌려준 미군 유해를 전담해 감식하는 K208팀과 진주만 폭격 때 가라앉은 오클라호마호에서 발견된 유해를 감식하는 오클라호마팀이다. 지난해 K208팀과 1996~2005년 DPAA가 직접 북한에서 발굴해온 유해를 감식하는 JRO팀이 합쳐져 현재는 코리아프로젝트팀이 됐다. 6.25 전쟁과 관련된 모든 유해감식을 전담한다. 그는 한인으로서 K208팀에 몸을 담았던 것에 대해 "전사자들은 대부분 10대 후반, 20대 초반이었다. 먼 한국 땅에 와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을까 싶었다. 또 한국을 위해 돌아가신 분들이라, 미안한 마음도 들었다. 내가 이 분들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 품에 돌려주는 게 그 분들에게 빚을 갚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지아 기자 kim.jia@joongang.co.kr

2018-07-29

미군유해 55구 '집으로'…27일 항공편으로 송환

북한이 6·25 전쟁 당시 북한지역에서 전사한 미군유해 55구가량을 이달 27일 항공편으로 송환할 예정이라고 미군 기관지 성조지가 17일 보도했다. 성조지는 군 관리의 발언을 인용해 북미 양국이 16일 판문점에서의 미군 유해송환 관련 실무회담에서 이같이 합의했다고 전했다. 미국 측이 유해를 담을 나무상자를 북 측에 전달하면 북한 측은 항공편으로 유해를 오산 미군기지나 하와이 미 공군기지로 보낼 예정이라고 성조지는 전했다. 이 관리는 성조지에 "그들(북한)은 우리가 제공하는 나무상자를 사용해 유해를 우리에게 돌려줄 것"이라며 "송환 날짜는 27일로 예상되나 변동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16일 실무회담의 논의는 유해송환에 집중됐으며, 북측이 이를 다른 요구와 연계시킬 것이라는 일부 관측과 달리 북측은 그 대가로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다른 이슈들을 제기하지 않았다고 이 관리는 전했다. 북한 측은 이날 회담에서 미국 대표단에 50~55구의 유해를 돌려줄 것이라고 알렸다고 이 관리는 밝혔다. 이달 27일은 6·25 전쟁을 멈춘 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이다. 북한이 이번에 미군유해를 송환하면 2007년 4월 빌 리처드슨 당시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북을 통한 미군유해 6구 송환 이후 11년 3개월 만이다. 미군은 지난달 하순 유해를 북한으로부터 넘겨받는 데 쓰일 나무상자 100여 개를 판문점으로 이송한 이후 차량에 실어 JSA 유엔사 경비대 쪽에 대기시켜 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군사령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북한이 조만간 미군유해를 송환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익명을 요구한 한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은 북한으로부터 한국전 당시 전사한 미군유해 55구를 2주 이내에 돌려받을 것을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당국자는 WP에 "유해송환은 다음 주나 그 다음 주 이뤄질 것"이라면서 "그 시기와 규모는 여전히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실적 애로사항을 들어가며 "55명이라는 숫자는 대략적인 규모"라며 "정확한 규모는 미 국방부 전쟁 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의 검토 작업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미네소타주 유세에서 "우리는 우리의 위대한 전사자 영웅들의 유해를 돌려받았다. 사실 이미 오늘 200구의 유해가 송환됐다(have been sent back)"고 '완료형'으로 말하며 '호언장담'한 바 있다. 이후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6~7일 제3차 방북 기간 유해송환 문제 논의를 위한 북미 간 실무회담 일정을 북측과 논의했다.

2018-07-18

김형길 총영사, 67년만에 ‘귀향’한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 송환 안장식 참석

김형길 총영사는 지난 6일(금) Houston National Cemetery에서 개최된 한국전 참전 미군 육군 용사인 John Wesley Hall 하사관의 유해 송환 안장식에 참석했다. 이날 김형길 총영사는 유가족들에게 위로와 감사를 전하고, 참전용사에게 수여되는 평화의 사도 메달을 유가족 대표에게 전달했다. 이날 안장식에서 김형길 총영사는 유가족들에게 사도 메달을 수여하면서 한국 정부를 대표하여 고인과 유가족들에게 감사와 위로를 전하고,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Hall 병장을 오래도록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송환 안장식을 가진 John Hall 육군하사관은 한국전쟁 중 북한군에 잡혔다가 사망한 후 67년만에 귀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루이지애나 출신으로 6.25전쟁 중 제2보병사단 503 야전포병대대 본부중대 소속이었다. 그의 부대는 1950년 11월경 북한 순천에서 이동을 명령받아 철수하던 중 청천강 전투 중 북한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1951년 1월 26일 죽음의 골짜기로 유명한 지역의 포로수용소에서 사망했다고 미 국방부가 밝혔었다. 그러나 그의 유해는 2005년까지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다. 고인의 유해는 감식 과정을 거쳐, 지난 2017년 6월 John Hall 육군 하사관의 유해로 판명되었고, 6일(금)의 안장식이 거행되기 3일 전인 지난 3일(화) 이곳 휴스턴으로 송환되어 왔다. 미국은 지난 1990~1994년까지 북한으로부터 미군 유해가 담긴 상자 208개를 받았고, 1996~2005년까지 북미공동유해 발굴작업을 통해 미국으로 송환된 미군유해는 총 220구이고 일부는 아직도 신원확인 중이라고 미 국방부 전쟁포로 실종자 확인국(DPAA)이 밝혔다. 한편 이날 개최된 안장식에는 NBC(click2houston), ABC 13 등 휴스턴 지역 주요 방송매체들이 참석해 주요 뉴스로 비중 있게 다뤘다. 이덕용 기자

2018-07-12

한국전쟁 유해 수습 몇 년 걸린다

북·미가 12일 오전(한국시간) 판문점에서 한국 전쟁 중 전사한 미군의 유해 송환에 대한 실무 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북미 간 합의가 도출되더라도 북한의 미군 유해 발굴 작업 재개와 유해 신원 확인까지는 몇 년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켈리 맥키그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국장은 11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에 유엔 관계자들도 참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전쟁 미군 실종자는 7697명으로, 이 가운데 5300여 명의 유해가 북한에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북·미는 지난 6·12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 포로와 전쟁 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고, 그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하순, 북한으로부터 미군 유해를 넘겨받을 때 쓰일 나무 상자(유골함) 100여 개가 판문점에서 이송돼 JSA유엔사 경비대 쪽에서 대기 중이다. 이날 합의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미군 유해는 군사분계선을 넘어 오산 공군기지로 이송된 뒤 하와이에 있는 히컴 공군기지의 법의학 감정실로 보내져 신원 확인절차를 밟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지난 9일 로버트 매닝미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의 한국전 참전 전사자 유해 송환에 대한 준비가 돼 있다”면서 “유엔군 사령부는 북한으로부터 유해를 받아 본국으로 송환하는 일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DPAA 대변인실은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한 대금 지급과 관련해 "정책 차원에서 미국 정부는 어떤 정부나 개인에게도 실종 미국인 유해에 대한 대가로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며 "그러나 우리는 발굴 및 송환에서 발생한 비용을 정산할 권한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지난 1990년부터 2005년 사이 북한으로부터 약 629구로 추정되는 유해를 돌려받았고 이 중 334구의 신원을 확인했다”며 “이 과정에서 북한에 약 2200만 달러를 보상했다”고 밝혔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2018-07-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